일상

수족구병, 영유아 건강을 위협하는 감염병 원인과 증상 총정리

creator-8696 2025. 6. 29. 09:34
반응형

 

최근 기온이 올라가면서 어린이집, 유치원 등 집단생활 공간에서 수족구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

질병관리청에 따르면, 최근 4주간 수족구병 환자가 두 배 넘게 늘었으며, 특히 영유아(0~6세)에서 발병률이 높아 부모님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.

오늘은 수족구병이 무엇인지, 어떻게 예방하고 관리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수족구병이란?

수족구병(Hand-Foot-and-Mouth Disease, HFMD)은 이름 그대로 손, 발, 입에 수포와 발진이 생기는 감염병입니다.

주로 콕사키바이러스 A16과 엔테로바이러스 71(EV-A71) 등 장내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,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.

특히 여름과 가을철에 많이 나타나며, 집단생활을 하는 영유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.

잠복기는 대략 3~5일 정도로,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며, 아이마다 증상의 강도가 다릅니다.

 

수족구병 주요 증상

초기 증상:
- 발열(38~39℃ 이상), 인후통, 식욕저하가 먼저 나타납니다.
- 발열 1~2일 후 입안(볼 안쪽, 잇몸, 혀)에 작은 물집과 궤양이 생깁니다.
- 손, 발, 엉덩이, 사타구니 등에도 붉은 반점과 수포가 생길 수 있습니다.

증상 경과:
- 대부분의 경우 7~10일 이내에 자연적으로 회복됩니다.
- 일부 아이들은 열이 거의 없거나 미열만 나타나기도 합니다.

심각한 합병증:
- 드물게 엔테로바이러스 71형에 감염된 경우, 뇌수막염, 뇌염, 신경원성 폐부종, 쇼크 등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구토, 심한 두통, 의식 저하 등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.

 

수족구병 치료와 관리법

수족구병에는 특별한 항바이러스제가 없습니다. 대부분 증상 완화와 대증요법으로 치료하며,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통증 및 열 관리:
- 아세트아ми노펜(타이레놀 등)이나 이부프로펜(부루펜 등)으로 통증과 열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- 아스피린은 소아에게 라이 증후군 위험이 있으니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.

수분 섭취:
- 입안 통증으로 인해 식욕이 떨어지고, 음식이나 물을 잘 먹지 못해 탈수가 올 수 있습니다.
- 시원한 물, 이온음료 등을 조금씩 자주 먹이세요.
- 소변 횟수가 줄거나 소변 색이 진해지면 탈수 위험이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
입원 치료:
- 음식이나 물을 전혀 먹지 못해 탈수가 심하거나, 심한 구토, 의식 저하 등의 합병症이 나타나면 입원하여 정맥수액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격리 및 위생:
- 수족구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므로, 확진 시에는 열이 내리고 입안의 수포가 나을 때까지 격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
- 감염된 아이와의 스킨쉽, 식기나 컵 공유는 피하세요.
- 기저귀 교체 후, 손을 반드시 비누로 씻고, 자주 만지는 표면과 장난감을 소독하세요.

 

수족구병 예방법

손씻기:
-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.
- 기저귀를 갈거나 배변 후에도 반드시 손을 씻으세요.

표면 소독:
- 기저귀 교체 구역, 장난감, 자주 만지는 표면을 가정용 표백제(물 1갤런[3.79L]에 표백제 1/4컵[60mL] 희석)로 소독하세요.

집단생활 시 주의:
- 어린이집, 유치원 등 집단생활 공간에서는 아이들의 손 위생과 환경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.

백신:
- 현재 엔테로바이러스 71형에 대한 백신이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나, 한국이나 미국에서는 아직 허가된 백신이 없습니다.

 

수족구병, 이럴 땐 꼭 병원에 가세요!

식욕저하, 탈수 증상:
- 음식이나 물을 전혀 먹지 못해 소변 횟수가 줄거나, 소변 색이 진해졌을 때
중추신경계 합병증 의심:
- 구토, 심한 두통, 의식 저하, 경련 등이 나타날 때
고열 지속:
- 3일 이상 고열이 지속되거나, 열이 너무 높아 해열제로도 잘 조절되지 않을 때
이런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으세요.

 

수족구병,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팁

증상이 다양하다:
- 아이마다 증상의 강도가 다르고, 열이 없이 수포만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.
수포 관리:
- 수포가 터지지 않게 하며, 터진 경우에는 감염 방지를 위해 깨끗이 관리하세요.
음식 섭취:
- 입안 통증이 심할 때는 미음, 요구르트, 찬 음식 등 부드럽고 시원한 음식을 주세요.
환기와 위생:
- 집안을 자주 환기하고, 아이가 사용하는 물건을 소독하세요.
격리 기간:
-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1~2일 정도 추가로 격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 

수족구병은 영유아에게 흔한 감염병으로, 대부분 가벼운 증상으로 자연 회복되지만,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
손씻기, 위생 관리, 증상 관찰이 가장 중요한 예방법입니다. 아이에게 이상 증상이 보이면, 빠르게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.

반응형